한국성인

  1. 조증이 바르바라

    조증이 바르바라 조증이는 경기도 이천(利川)의 양반 교우 가정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열심히 신앙 생활을 하였다. 16세 때 남이관(南履灌)과 혼인하였으나 1801년 신유박해로 아버지 조 프란치스코와 시부모가 순교하고 남편도 유배를 당하게 되자 친정으로 내려가 10여 년을 살았다. 그 뒤 서른 살쯤 다시 상경하여 정하상(丁夏祥)을 도우며 선교사 영입에 필요한 자금 마련을 위하여 노력하였다. 1832년 남편이 유배에서 풀려나자 남편과 함께 유방제(劉方濟) 신부를 돌보며 공소를 세우고, 교회와 교우들을 위하여 열심히 봉사하였다....
    Read More
  2. 한영이 막달레나

    한영이 막달레나 외교인 가정에서 태어난 한영이는 혼기에 이르러 권 진사(進士)라는 양반의 후처로 들어가 딸 권진이(權珍伊)를 두었고, 남편이 대세를 받고 죽으면서 천주교를 믿으라는 유언을 남기자 딸과 함께 입교하였다. 그 뒤 신앙 생활을 하고자 딸과 함께 집을 나와 교우들 집에 몸붙여 살다가 1839년 7월 17일 딸과 딸의 친구인 이경이(李瓊伊)와 함께 체포되었다. 12월 29일 6명의 교우와 함께 서소문 밖 형장에서 참수형으로 순교하였다. 그의 나이 56세였다.
    Read More
  3. 현경련 베네딕타

    현경련 베네딕타 서울의 역관(譯官) 집안에서 태어난 현경련은 어려서 세례성사를 받았다. 1801년 신유박해 때 아버지 현계흠(玄啓欽)이 황사영(黃嗣永)의 백서(帛書) 사건과 관련되어 순교한 뒤 어머니를 따라 자주 이사다니며 살았다. 17세 때 최창현(崔昌顯)의 아들과 혼인하였으나 3년 만에 남편을 여의고는 친정으로 돌아와 살았다. 규칙적인 독서와 기도 생활을 하였고, 여회장직을 맡아 보며 교회 일에 적극 헌신하였다.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나자 현경련은 잠시 피신했었으나 6월에 체포되었다. 포청에서 주교의 피신처를 알아 ...
    Read More
  4. 정정혜 엘리사벳

    정정혜 엘리사벳 동정 순교자인 정정혜는 정약종(丁若鍾)의 딸로, 네 살 때 세례성사를 받았다. 1801년 신유박해로 전가족이 함께 체포되어, 아버지와 이복 오빠 정철상(丁哲祥)은 순교하였으나 정정혜는 어머니 유 체칠리아, 오빠 정하상(丁夏祥)과 함께 석방되었다. 그 뒤 마재의 삼촌 정약용(丁若鏞)의 집에서 살면서 길쌈과 바느질로 가족들의 생계를 꾸려 나갔다. 친척들의 구박과 냉대를 아름다운 덕행과 인내로 극복하고, 박대하던 몇몇 친척들까지 입교시켰다. 1839년 7월 11일 기해박해 때 정정혜는 서울에서 어머니, 오빠와 함께...
    Read More
  5. 고순이 바르바라

    고순이 바르바라 고순이는 1801년 신유박해로 순교한 고광성(高光晟)의 딸로, 서울에서 태어났다. 18세 때 교우인 박종원(朴宗源)과 혼인하여 3남매를 두고, 모범 가정이라고 칭찬을 들으며 살았다. 또한 회장인 남편을 도와 무지한 이들을 가르치며 병약자를 간호하는 등 교회 일에도 적극적으로 봉사하였다.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나자 10월 26일 남편이 먼저 체포되고, 그 이튿날 고순이도 체포됨으로써 포청에서 남편과 만나 서로 위로하고 격려하며 순교를 준비하였다. 형조에서도 남편과 함께 고문을 당하였으나 굴복하지 않았다. ...
    Read More
  6. 이영덕 막달레나

    이영덕 막달레나 동정 순교자인 이영덕은 외교인 양반 가문에서 태어났으며, 어려서 외할머니의 권면으로 신앙을 갖게 되었다. 혼기에 이르러 아버지가 외교인과 혼인할 것을 강요하자 동정을 지키기로 결심하고는 꾀병을 앓기도 하고, 손가락을 잘라 혈서를 써 보이기까지 하였다. 그러나 완고한 어버지의 고집을 꺾을 수 없어 범 라우렌시오 주교에게 가출할 수 있도록 청원하였다. 주교가 허락하지 않으므로 어머니, 동생과 함께 집을 나와 교우들의 집에서 숨어 살았다. 이 사실을 알게 된 주교는 처음에는 집으로 돌아가라고 명령하였...
    Read More
  7. 김 데레사

    김 데레사 김 데레사는 1816년 대구에서 순교한 김종한(金宗漢)의 딸로 충청도 솔뫼에서 태어났으며 김대건 신부의 당고모이다. 17세 때 교우인 손연욱 요셉과 혼인하였으나, 1824년 남편이 해미(海美)에서 순교하자 가난하게 혼자 살면서 신앙 생활에 전념하였다. 정정혜(丁情惠)와 함께 유방제(劉方濟) 신부와 범 라우렌시오 주교의 살림을 돌보던 중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나자 7월 11일 범 라우렌시오 주교의 집에서 정하상(丁夏祥) 일가와 함께 체포되었다. 김 데레사는 포청에서 주교의 은신처를 알아 내려는 형리들에게 여러 차례...
    Read More
  8. 이 아가타

    이 아가타 17세의 꽃다운 나이로 순교한 동정녀 이 아가타는 이광헌과 권희(權喜)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부모의 모범을 따라 독실한 신앙 생활을 하였고, 또 일찍부터 동정을 지킬 결심을 하였다. 기해박해 초인 1839인 4월 7일 가족들과 함께 체포되어 포청에서 혹형과 고문을 당한 뒤 형조로 이송되었으나, 형조에서는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로 포청으로 다시 보냈다. 포청에서는 부모가 배교한 것처럼 속여 이 아가타에게도 배교를 강요하였으나 조금도 굴하지 않고, 옥에서 만난 김 데레사와 함께 서로 위로하고 격려하며 신앙을 지켜 ...
    Read More
  9. 민극가 스테파노

    민극가 스테파노 민극가는 인천의 양반 집안에서 태어났다. 가족이 모두 외교인이었으나 어머니가 사망한 뒤 아버지가 중년에 이르렀을 때 온 가족이 함께 입교하였다. 그는 20세 때 아내를 잃고 아버지의 뜻에 따라 재혼하여 딸 하나를 두었으나 6, 7년 뒤 재혼한 아내와 딸마저 잃게 되었다. 그리하여 민극가는 집을 나와 서울 경기 지역을 전전하며 교리 서적을 팔아 생활하였다. 또 어디서나 외교인들에게 교리를 가르쳐 입교시키고 또 자선 사업에도 많은 힘을 기울였다. 그 결과 회장에 임명되었다. 1839년 기해박해로 주교와 신부들...
    Read More
  10. 정화경 안드레아

    정화경 안드레아 충청도 정산(定山)의 부유한 교우 가정에서 태어난 정화경은 어려서부터 열심한 신앙 생활을 하였고, 장성해서는 더욱 자유로운 신앙 생활을 하고자 고향을 떠나 수원 근처로 이사해 살았다. 이 곳에서 회장을 맡아 보며 자기 집을 공소로 내놓았고 또 서울을 왕래하며 힘 자라는 데까지 교회 일을 도왔다.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나자 정화경은 매일같이 교우들을 찾아 위로하고 격려하며 순교의 마음을 북돋아 주었고, 박해를 피해 내려온 범 라우렌시오 주교에게 은신처를 마련해 주었다. 그러나 그해 8월 주교를 찾고 ...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
Invalid XML in widget code.